최근 이슈들 보면 ETF에 관심이 많은 2-30대가 굉장히 많은 것 같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ETF 투자 관련해서 이야기를 했다.
오늘도 쉽게 설명하는 금융지식 2편 ‘주식 ETF종류’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1. 주식 ETF라는게 정확이 무엇일까?
- 주식 ETF는 특정 지수, 예를 들어 S&P 500, KOSPI 등에 속하게 된 종목들을 추종하거나,
테마, 섹터에 해당하는 종목들을 보유한다.
2. 그럼 구체적으로 주식 ETF종류는 무엇이 있고, 어떤 것들을 고려 해야 할까?
-
지수 추종 ETF
지수 추종 ETF는 특정 지수의 성과에 따라가기 위해서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을 보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S&P 500에 포함된 다양한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S&P 500에 포함된 기업에는 Apple, Microsoft, Amazon, Tesla, JPMorgan 등 미국 대표 테크 기업과 금융기업들이 있다. 이런 기업들의 포트폴리오를 모아 내는 ETF가 있다.
따라서, 자신이 투자하고 싶은 기업들의 포트폴리오가 담긴 ETF에 투자하면 되는 것이다. - 다만, 완벽하게 지수와 일치 하지 않을 수 있고, 일시적인 시장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신중하게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 또한 ETF가 추종하는 지수는 종종 구성 종목이나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꼭 고려해 두자.
- 예를 들어서 S&P 500에 포함된 기업에는 Apple, Microsoft, Amazon, Tesla, JPMorgan 등 미국 대표 테크 기업과 금융기업들이 있다. 이런 기업들의 포트폴리오를 모아 내는 ETF가 있다.
-
섹터 ETF
섹터 ETF는 특정 산업이나 섹터에 집중한 종목들을 보유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기술, 금융, 에너지, 소비재, 건설 등 다양한 산업이나 섹터에 특화된 ETF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술 섹터라고 가정 했을 때, 구성된 포트폴리가 또 달라지겠지만, Meta, Apple, Google 등 기술 관련된 포트폴리오로 구성된 ETF가 있을 것이다.
- 섹터 ETF는 추종하는 산업 또는 섹터의 성과를 따라가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투자하는 섹터의 성장 가능성 혹은 특정 테마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는 흥미로울 수 있을 것이다.
- 다만, 특정 섹터의 성과는 섹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산업에 투자하는 것인 만큼, 섹터의 전망, 정책 변화, 기업 실적 등 최대한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고 투자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
팩터 ETF
팩터 ETF는 특정 투자 요인을 기반으로 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ETF이다. 팩터는 특정 투자 요인을 말하게 되는데, 주식의 수익성이나 가치 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나타내고, 주로 장기적인 수익 차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치(Value), 성장(Growth), 품질(Quality), 저변동성(Low Volatility), 크기(Size) 등의 팩터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예를 들어서 가치 팩터 ETF는 저평가된 주식을 주로 보유하고, 성장 팩터 ETF는 높은 성장률을 가진 주식을 주로 보유한다. 따라서 이러한 ETF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종목의 선택과 가중치 조정이 이뤄지고, 해당 팩터를 가장 잘 반영하는 종목들로 구성된다.
- 팩터 ETF는 특정 투자 전략 구현의 편의성과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다각화 및 리스크 분산을 도울 수 있다.
- 다만, 팩터의 성과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고, 팩터를 완벽하게 추종을 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
국가별 ETF
국가별 ETF의 경우는 말그대로 특정 국가의 주직 시장에 집중하는 ETF이다.
- 예를들어 한국 주식 시장에 관심이 있다면 KOSPI ETF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관심있는 국가 별로 투자할 수 있다.
- 다만, 해외 ETF의 경우 환률 리스크와 세금과 규정에 따라 운용방식이나 배당금 처리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잊지말자. 그렇기 때문에, 신중히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3. 최종 요약
- 주식 ETF의 경우 지수 추종 ETF, 섹터 ETF, 팩터 ETF, 국가별 ETF 등이 있다.
다양한 주식 시장에 대한 노출되는 만큼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주식에 비해 거래 비용이 낮고, 유동성이 높아 투자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해 주는 장점이 뚜렷하다.다만, 이 또한 돈을 들여 투자하는 것임을 잊지 말자. 해당 지수 또는 종목들의 성과에 따라 성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변동성과 리스크를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