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길을 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하여, 디자인적인 사고 관련 책들을 많이 읽게 되는데, <기획 발전소>는 재미있게 술술 읽혔던 책이다.
기획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레이아웃을 볼 수 있었고, 프로세스마다의 의미와 정의를 간략하고 명확하게 해주었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더욱 편했다.
<기획 발전소>
기획자 로서의 마인드
하지만 그 안에 특별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메세지들이 있었다. (적어도 나는 반복적이라고 느꼈다) 기획자는 소비자에 대해서 정확하게 정의하고, 이해하는데서 부터 시작하지만, ‘고객’, ‘소비자’ 어쩌면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릴 수 있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실 제일 중요한 것은 협업하는 기술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 동료들을 잘 이해하고 신뢰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는 협업 할 때 기획자 로서 서로를 신뢰하고 믿음을 주는 것이 일하는 데 더욱 즐거웠고, 만족스러운 결과물도 도출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타인을 신뢰하는가? 또한 공유경제 사회 속에서 나는 잘 공유하며 업무를 진행하고자 하는가?
나에게 있어 아직까지는 가장 많이 훈련해야 하는 것이 co-work하는 것일 것이다. 나는 환경에 따라 nice하고도 nice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것을 잘 인지하고 있다. 제일 많이 시정하고, 훈련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관계라는 것에서 상처 받은 것의 트라우마에 스스로 가둬두지 말고 이제는 치고 나와야 할 때이다. 피드백 받은 대로, 이러다가 주위에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누구보다 나 스스로도 너무 잘 알기에..
디자인 ‘프로세스’
<기획 발전소>에서는 디자인 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많이 다루고 있지만, 정말 간과해서는 안되고, 더욱 중요한 절차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Non-Visual 단계이다. 계획을 수립하고, 트렌드를 파악하고, 조사하는 단계까지, 어떻게 보면 정말 low한 단계들이지만, 절대로 무시하면 안될 요소들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처음 진행했던 기획 프로젝트에서 뼈저리게 느꼈던 부분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안 했으므로 굉장히 곤란했고, 스스로 자책하게 되었던 시간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러한 단계들이 가장 low하지만, 가장 중요한 단계임을 또 다시 느끼게 해주었다.
결국은 ‘겸손한 마음’
결론적으로는 항상 겸손한 마음을 가져야 함을 알려준다. 겸손함으로 인하여 사람들을 이해하고, 또한 가장 low한 단계의 일들을 진행할 수 있음을.. 지금까지의 나의 모습은 결국 교만함으로 인해 불러온 결과임을 인지하고, 정말 겸손해 지기 위해 행동을 취하고, 사고하는 방식을 기르고, 실행해야 한다. 남은 한 해 그리고 앞으로는 포용할 수 있는 겸손한 사람이 되기를 바래본다.